은행 조이자 더 커진 풍선효과…2금융권 대출 3배 '급증'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573회 작성일 21-12-09 16:51본문
[서울=뉴시스] 정옥주 기자 = 금융당국의 대출 '옥죄기'로 지난달 은행권 가계대출 증가세가 둔화됐지만, 제2금융권의 증가세는 다시 부풀어 오르는 '풍선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9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지난달 전 금융권 가계대출이 5조9000억원 늘어나 전월(6조1000억원) 대비 증가폭이 축소됐다.
특히 지난달 은행권 가계대출이 3조원 늘어나는데 그쳤는데, 주택담보대출 증가액이 2조4000억원으로 전월(4조7000억원) 보다 절반 가량 줄어든 영향이 컸다. 이는 같은 달 증가폭 기준으론 2013년 11월 2조8000억원 이후 최저치이자, 올해 전체 월 증가폭 기준으론 5월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은행권 가계대출 증가세가 한 풀 꺾인 것은 금융당국의 강도 높은 대출 규제와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영향으로 주택거래 관련 자금수요가 둔화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은행들이 신규대출 취급을 축소하고 있는 가운데, 대출금리까지 큰 폭으로 뛰어오르면서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은 대출)'로 집을 사려는 수요가 점차 잦아들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 올 6~8월 8만9000호 수준을 유지했던 전국 주택 매매거래량은 9월 8만2000호로 줄어들었다. 은행권 신용대출도 6000억원 늘어, 전월(5000억원)과 비슷한 수준을 이어갔다.
반면 제2금융권 가계대출은 다시 큰 폭으로 뛰어올랐다.
지난달 2금융권 가계대출은 2조9000억원 증가해 전월(1조원)에 비해 증가폭이 3배 가까이 커졌다. 이 가운데 상호금융이 2조1000억원 늘어 전월(4000억원) 대비 5배 가량 확대됐다. 새마을금고도 1조4600억원이 늘어 전월(6000억원) 보다 2배 이상 늘었다.
이에 따라 올해부터 11월까지 제2금융권 가계대출 잔액 증가액은 35조4000억원으로, 전년동기(9조4000억원) 대비 약 4배에 달했다. 이중 농협이 11조8700억원으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신협과 새마을금고가 각각 1조7700억원, 3조4300억원이 늘었다.
이같은 현상은 정부의 대출규제로 시중은행에서 대출이 막힌 차주들이 상호금융, 저축은행 등 2금융권으로 몰리는 '풍선효과'로 풀이된다. 더욱이 시중은행들이 가계대출 관리 강화를 명목으로 대출금리를 빠른 속도로 올리는 바람에 제2금융권 대출금리가 시중은행 금리보다 낮아진 것도 2금융권 대출 증가세를 견인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2금융권이 최근 속속 가계대출 취급을 중단하고 있고, 내년부터 제2금융권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가 강화될 예정이어 2금융권의 대출 증가세도 머지 않아 둔화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이미 새마을금고, 신용협동조합(신협) 등 주요 상호금융은 지난달 말부터 주택구입자금대출을 전면 중단한 상태다. 또 당장 다음달부터는 2금융권의 DSR 기준도 60%에서 50%로 하향 조정돼 대출 받기가 더 어려워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지금까지 차주 단위 DSR 규제 대상에서 제외돼 있던 카드론도 내년부터는 포함된다.
아울러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저축은행과 상호금융권 등의 내년 가계대출 증가율 목표치를 올해 보다 낮춰 금융사들은 내년 한도를 대폭 줄여야 하는 상황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주택담보대출뿐 아니라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도 증가세가 둔화되면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며 "지난 10월 발표한 가계부채 관리 강화방안의 차질 없는 이행 등 가계대출 연착륙을 지속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위는 가계부채 증가세가 둔화되기 시작함에 따라, 내년 가계부채 관리를 '체계적인 시스템관리'로 단계적으로 전환한다는 방침이다. 내년에도 강화된 '총량관리'를 지속하겠지만, 차주단위 DSR 등 제도적 장치가 마련·시행되는 만큼 보다 안정적이고 유연한 관리가 가능할 것이란 설명이다.
한편 한은은 최근 가계대출 증가세가 둔화된 것은 사실이지만, 추세적인 안정세인지 여부를 판단하기에는 아직 이르다는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한은 관계자는 "9월 이후에 두 달 연속으로 가계대출 (증가세가) 감소한 것은 숫자적으로 맞지만, 증가세가 꺾였다고 표현하려면 추세적인 안정세인지 여부를 봐야 한다"며 "계절적인 비수기 영향도 있고, 좀 더 지켜봐야 될 것 같다"고 말했다.
출처-https://newsis.com/view/?id=NISX20211208_0001680786&cID=15001&pID=1500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